본문 바로가기
  • 노력은 HAPPY 판단은 RICH
아만보/주식

골드바 판매 중단, 수혜 업종과 도시 광산

by 니리치 2025. 2. 13.
반응형

최근 시중은행과 한국 금거래소에서 골드바 판매가 중단된 것은 금의 품귀 현상과 가격 상승에 기인한다. 이러한 금값 상승은 미국 대통령의 관세 확대 예고로 인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 금값 상승과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 수혜업종
  • 도시광산

 

골드바 판매 중단, 수혜업종과 도시광산

 

 

 

1. 금값 상승과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금값 상승과 공급 부족은 주식시장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 안전자산 선호 증가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질 때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를 늘린다. 이로 인해 금값이 상승하며, 주식 등 위험자산에서 자금이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금값은 상승한 반면, S&P 500 지수는 하락한 사례가 있다.

 

나. 인플레이션 우려

관세 인상으로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면 전반적인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금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주목받아 수요와 가격이 더욱 상승할 수 있다.

 

다. 금 관련 기업의 수익성 향상

금값 상승은 금 채굴 및 정제 기업의 수익성을 높여 해당 기업들의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 코스피 및 코스닥 수혜 업종

가. 금 채굴 및 정제 기업

금값 상승으로 직접적인 수혜를 받는 업종이다. 예를 들어, 금광 개발 및 금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이에 해당한다.

 

나. 귀금속 관련 제조업

금값 상승으로 귀금속 제품의 가치가 상승하여 관련 제조업체들의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다. 안전자산 투자 관련 금융업

금 ETF 등 금 관련 금융 상품을 운용하는 자산운용사나 증권사도 금값 상승의 수혜를 받을 수 있다.

 

반면, 금값 상승과 공급 부족은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금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산업이나 금리 변동에 민감한 업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투자 시에는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골드바
멋지게조각된골드바

 

3. 도시광산

폐가전에서 금을 추출하는 '도시광산' 사업은 자원 재활용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주요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SK네트웍스와 LS니꼬동제련

SK네트웍스는 중고 스마트폰과 가전제품을 수거하고, LS니꼬동제련은 이들로부터 금, 은, 백금, 구리, 팔라듐 등 금속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인 SK테스는 23개국에 46개 거점을 두고 글로벌 자원순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에 주력하고 있다.

 

고려아연

고려아연은 폐가전 및 IT기기에서 금속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도시광산'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NH리사이텍

이 회사는 폐전자제품에서 금, 은, 동 등 귀금속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전문 기업이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에서는 금·은·동을, 메인보드에서는 금과 팔라듐을 회수한다. 한 달에 약 100톤 이상의 폐전자제품을 처리하며,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폐기물 재활용도 진행하고 있다.

 

㈜한민

국내에서 도시광산업을 본격적으로 산업화한 기업으로, 폐인쇄회로기판(PCB) 등에서 금속을 추출한다. 충남 예산에 도시광산 전문 제련소를 운영하며, 고도화된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자회사인 테스(TES)와 함께 폐배터리에서 리튬, 코발트, 니켈 등 희소금속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협력하여 폐자원의 재자원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폐가전에서 금을 비롯한 귀금속을 추출하여 자원 재활용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투자 시에는 각 기업의 재무 상태, 기술력, 시장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댓글